본문 바로가기
AWS

[AWS] Elastic Block Store (EBS)

by prettyNoona 2023. 12. 22.

EC2 생성과 동시에 EBS 볼륨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생성된 볼륨의 AMI를 통해 OS/Application 이 배포가 되어 있고, EC2를 생성할 때 EBS 스토리지가 생성된다.

위 화면에서 볼륨의 생성일, 암호화키, 가용영역 등 상세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다.

 

 


볼륨 생성

연동하고자 하는 EC2와 동일한 가용영역을 설정해야한다 ( 아주 중요 )
암호화를 선택

 

볼륨이 생성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볼륨 상태 : 사용가능 )

 

 


볼륨 연결

작업 >> 볼륨연결
해당 EC2를 입력하여 연결

 

해당 인스턴스의 스토리지에서 새로 추가한 볼륨이 연결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볼륨 해제 및 삭제

볼륨 >> 작업 >> 볼륨 강제 분리
연동 해제 된 볼륨은 사용가능으로 볼륨 상태가 변경
해당 볼륨을 작업 >> 볼륨삭제를 진행하면 삭제가 완료

 

 

 


볼륨 스냅샷 (백업기능)

목록에 볼륨이 생성되고, 진행상태가 사용가능 일때까지 대기한다.

 

1. 볼륨 생성 : 볼륨 신규 생성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동일한 볼륨이 생성된걸 확인 할 수 있고, 연결 되어있는 EC2에 이슈가 생기면 바로 백업에 전환이 가능하다.

 

 

2. 이미지 생성 : AMI 생성 

이미지 생성

 

이미지 >> AMI 목록에서 새로 생성한 이미가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인스턴스 새로 생성 후 AMI >> 더많은 AMI 찾아조기 >> 내가 생성한 AMI 목록에서 설정하여 인스턴스 신규 생성이 가능하다.

 

 


비용절감을 위한 옵션 해제

 

탄력적 ip 주소 해제

탄력적 IP 주소 릴리즈를 진행하여 IP주소를 삭제 한다.

 

스냅샷 삭제 

인스턴스를 삭제하면 볼륨도 자동으로 함께 삭제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lastic File System (EFS)  (0) 2023.12.26
[AWS] Instance Store  (1) 2023.12.26
[AWS] EC2 인스턴스 유형 설정  (0) 2023.12.22
[AWS] EC2 보안그룹 수정  (1) 2023.12.21
[AWS] Elastic IP 생성 후 인스턴스 할당  (0) 2023.12.21